미국과 중국이 1년 반 만에 공식 무역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게 된다. 그러나 시작부터 분위기는 얼어붙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직전,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145%의 고율 관세를 선제적으로 인하할 계획이 없다”고 밝혀 중국을 압박하며 협상 주도권을 쥐려는 의도를 분명히 했다.
스위스 회담 앞두고 강경 입장 천명
현지시각 5월 7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데이비드 퍼듀 주중 미국 대사 임명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관세 철회 여부에 대한 질문에 단호하게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는 5월 10일 스위스에서 열릴 미·중 무역 고위급 회담을 겨냥한 선제 메시지로 해석된다.
미국 대표단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에서는 허리펑 부총리가 참석한다. 이 회담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고율 관세를 도입한 이후 처음 열리는 공식 협상이다.
‘누가 먼저 협상 요청했는가’… 시작부터 신경전
협상 자체를 누가 먼저 제안했는지를 둘러싸고도 기 싸움이 벌어졌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 측이 회담을 요청했다”고 밝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과 다르다”며 강하게 부인했다. “그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자료를 다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하며, 협상의 ‘주도권’이 미국에 있다는 점을 반복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의 강경한 대중 노선을 내부 정치적으로도 강화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가 다시 대선 무대에 오른 상황에서, 중국에 대한 강경 자세는 자신의 핵심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수단이기도 하다.
‘완화’는 가능하나 ‘합의’는 요원… 경제상황이 변수
이번 회담의 실질적인 기대치는 낮다. 베선트 재무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지금의 관세 수준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지만, “이번 논의의 목적은 완화이며, 대규모 무역 합의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이 같은 입장은 미국 내 소비자 물가와 기업 비용 부담이라는 현실적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미국은 수입 급증과 소비 위축이 겹치며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중국 역시 제조업 경기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양국 모두 경제적 압박 속에서 협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치적 계산과 경제적 현실 사이에서
트럼프의 145% 관세 고수 발언은 상징적 수사에 가깝다. 실제로 모든 품목에 일률적으로 145% 관세가 매겨지는 것은 아니며, 이는 철강·반도체·전기차 등 특정 전략 품목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수치는 정치적으로 “중국에 대해 강경하다”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효과적이다.
반면 트럼프 내부 참모진과 경제 부처는 보다 유연한 입장을 택하고 있다. 실무진 차원의 조율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트럼프 본인이 공개적으로 입장을 선회할 가능성은 낮다. 이는 향후 협상 결과가 ‘비공식적 양보’ 혹은 ‘단계적 완화’ 수준에서 머무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협상은 시작되었지만, 방향은 여전히 불투명
미·중 무역 협상은 다시 시작됐지만,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트럼프의 강경 발언은 협상의 시작이 아닌, 정치적 메시지다. 그러나 양국의 경제 압박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실무적 차원에서의 관세 조정이나 일부 품목 완화는 조심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
이번 회담은 무역 전쟁의 끝이 아닌, 새로운 장의 시작이다. 양국 모두 ‘디커플링’이 아닌 ‘공정한 무역’을 내세우고 있지만, 관세와 기술 패권을 둘러싼 갈등은 쉽게 봉합되지 않을 것이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AI 전환, 겉은 화려하나 본질은 아직 미완 (1) | 2025.05.08 |
---|---|
재산 중 채권이 60% 트럼프의 관세 전술, 자신이 조작하는 금융시장? (1) | 2025.05.08 |
과학자가 금메달리스트처럼 대우받는 사회?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던진 새로운 질문 (1) | 2025.05.07 |
트럼프가 불지핀 '밈 코인' 이란 무엇일까? (3) | 2025.05.06 |
초중등 논술, 고등학교와 입시까지- '꾸그' 의 정탄 선생님 (4) | 2025.04.22 |